프로그래밍/SPRING BOOT

[인프런 : spring-boot] HelloWorld Controller 추가

공또뤼 2022. 8. 29. 14:34
반응형

이번에는 앞서 생성한 프로젝트에 첫번째 클래스를 추가해보려고 한다.

 

먼저 폰트 확장 작업부터 진행해보려고 한다.

intelliJ에서 포트 확장은 File > Settings > Editor > Font에서 폰트 크기를 조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.

 

우리는 RestAPI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의 내용을 Controller의 클래스 이름으로 등록할 수 있다. 

이는 기존의 controller가 아닌 RestController로 작동하도록 되어있다.

RestController와 일반 Controller에 대한 차이점은 다음에 알아보도록 한다.

 

 

우선 클래스를 생성하려면 오른쪽 클릭 > new > Java Class를 통해서 이름을 설정하고

원하는 이름의 class를 만든다. 

생성 후 @Annotation을 이용하여 RestController를 태그해준다.

 

package com.example.restfulwebservice;
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GetMapping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stController;

@RestController
public class HelloWorldController {
    // GET 방식의 메서드 형태
    // 지정하고싶은 URI : hello-world (endpoint)
    
    //@RequestMapping()을 사용해왔지만 더 편리한 GetMapping() 사용가능
    //@RequestMapping(method=RequestMethod.GET, path="/hello-world")
    @GetMapping(path ="/hello-world") //추가로 더 추가할 시 속성도 추가해야 함
    public String helloWorld(){
        return "Hello World";
    }
}

마찬가지로 다시 실행 시켰을 때 실행이 완료되면 웹브라우저로 확인해 볼 수 있다.

 

위 확인사항들을 postman에서도 확인 할 수 있는데

똑같이 Hello World를 확인해 볼 수 있다!

중간에 Status 200OK 를 확인하면 정상적으로 요청된 것이라는 의미이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